728x90
반응형
예제 데이터셋
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설문조사 기사에서 나온 숫자를 사용하겠습니다.
slang_usage = ["Rarely", "Sometimes", "Never", "Often"]
values = [438, 401, 195, 109]
matplotlib의 plt.pie()
plt.pie()로 간단한 파이 차트를 그려줄수 있다.
아무 파라미터 없이 값만 넣어줘도 간단한 파이 차트 완성!
# 라이브러리 불러오기
import matplotlib.pyplot as plt
plt.pie(values)
여기서 각 색깔의 의미를 위해 레이블(label)이나 범례(legend)를 추가해준다.
레이블은 labels= 파라미터로 불러준다.
plt.pie(values, labels=slang_usage)
범례는 plt.legend()
plt.pie(values)
plt.legend(slang_usage)
plt.pie() 안에 다양한 파라미터를 지정해줄수 있다.
- startangle= 기본 값은 0도 이며 0에서 360 사이의 숫자를 넣어 시계방향으로 시작하는 각도를 돌릴수있다.
plt.pie(values, labels=slang_usage, startangle=90)
- labeldistance= 레이블의 거리 조정. 숫자가 클수록 파이차트에서 멀어진다
plt.pie(values, labels=slang_usage, labeldistance=1.4)
- rotatelabels= 기본 값은 False로 True로 바꿔주면 레이블이 같이 돌아간다.
plt.pie(values, labels=slang_usage, rotatelabels=True)
- explode= 파이 "터트리기" 리스트/배열을 넣어서 파이 조각 떨어트리기
exp = [0.1, 0, 0, 0]
plt.pie(values, labels=slang_usage, explode=exp, startangle=90)
- shadow= 기본 값이 False로 True로 바꾸면 그림자가 생긴다
plt.pie(values, labels=slang_usage, explode=exp, startangle=90, shadow=True)
- autopct= 퍼센트를 파이차트 안에 표시
- autopct = '%.1f' 소수 첫째자리까지 표시
- autopct = '%.2f 소수 둘째자리까지 표시
- autopct = '%.1f%%' 퍼센트까지 포함
plt.pie(values, autopct='%.1f%%')
- pctdistance= 안에 있는 레이블 거리 설정
plt.pie(values, autopct='%.1f%%', pctdistance=0.8)
- colors= 배열/리스트를 넣어서 색깔 지정
my_colours = ["#dde5b6", "#adc178", "#a98467", "#6c584c"]
plt.pie(values, labels=slang_usage, colors=my_colours)
- wedgeprops= 딕셔너리를 넣어서 다양한 디테일 변경
- width 파이 가운데 뚫기
- edgecolor 테두리선 색깔
- linewidth 테두리선 두께
wed={"width": 0.4}
plt.pie(values, wedgeprops=wed)
w = {"edgecolor": "black", "linewidth":3, "width":0.5}
plt.pie(values, wedgeprops=w)
728x90
반응형
'ᐧ༚̮ᐧ Data Science | AI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데이터프레임 특정 조건에 맞는 값 추출하기 (0) | 2022.08.22 |
---|---|
[파이썬] 그래프 크기 설정하기 (figsize) (0) | 2022.08.17 |
[파이썬/matplotlib] 선 그래프 그리기 + 테마 (스타일 시트) 설정 (0) | 2021.09.27 |
데이터 분석에 쓰이는 파이썬 라이브러리 소개 (0) | 2021.09.24 |
[파이썬] 판다스 pandas csv 파일 불러오기 & 데이터 살펴보기 (0) | 2021.09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