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데이터 과학자 4

[GenAI #1] 생성형 인공지능 (Generative AI)이란?

생성형 AI란?생성형 AI는 입력된 프롬프트(질문, 요청, 설명 등)에 따라 새로운 콘텐츠(텍스트, 이미지, 동영상, 음악, 코드 등)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. 기존 데이터를 학습하여 그 구조와 패턴을 이해한 후, 이를 바탕으로 독창적이거나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.  주요 특징학습 및 생성 능력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패턴과 관계를 학습.학습한 데이터를 토대로 새로운 텍스트, 이미지, 음성, 코드 등을 생성.활용 분야텍스트 생성: 예) ChatGPT를 사용해 글쓰기, 이메일 작성, 대화 생성.이미지 생성: 예) DALL·E와 MidJourney로 예술 작품, 제품 디자인.음악 및 음성: 음악 작곡, 음성 합성.코드 생성: GitHub Copilot으로 코드 작성 보조.비디오 제작: 간단..

[일주일 TIL 모음집 #1] 데이터 과학자의 일주일 치 TMI 가득한 TIL ✏️

✏️ = TIL 오늘 배운 것, 또는 느낀 점🙉 = TMI 주저리주저리 2024.08.19   🙉 Procrastination논문 읽기, 딥러닝 공부, 블로그 포스팅, 테니스 레슨 등등 하겠다고 마음먹고도 실행하지 못한 일들이 점점 내 마음을 무겁게 만든다. 미루는 습관(Procrastination)을 멈추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잠시 고민해봤다. 내가 미루지 않고 잘하는 것들: 책 읽기, 코딩 관련 업무, 집 청소 등등내가 미루는 것들: 딥러닝 공부, 논문 읽기, 블로그 포스팅 등등 딥러닝 공부 같이 끝이 없어 보이는 일들은 더더욱 시작하기가 어렵다. 그래서 온라인에서 찾은 몇 가지 팁을 실천해 보려고 한다.- 2분 이내에 끝낼 수 있는 일은 바로 실행하기- 시간 차단하기: 점심 식사 후..

데이터 과학자로 커리어 전환, 나의 경험

커리어 전환을 생각하게 된 계기 + 내 배경고등학교를 졸업할 당시, 난 내 진로에 대해 확신이 없었다. 학교에서 그나마 좋아했던 과목은 물리였다. 숫자를 공식에 넣고 계산을 하면 정확한 답이 나오는 것과, 세상에 (웬만한) 모든 움직임이 수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사실에 매료되었던 것 같다. 그래서 단순한 이유로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통계학을 전공하게 되었다. 통계학은 대학을 다니다 중간에 부전공으로 선택했는데, 단순히 물리만 전공하는 것보다 두 가지를 전공하는 게 더 나을 것 같았고, 통계학은 부전공 과목이 비교적 적어서 부담이 덜했기 때문이다. 그렇게 우연히 접하게 된 통계학은 생각보다 재미있었지만 당시에는 통계학 분야의 취업을 구체적으로 생각하지는 않았다. 대학 졸업 후, 잠시 고민한 끝에 대학교 ..

2023 연말 정리 & 2024 목표 ✨

매년 1월이면 항상 기분이 묘하다.별 이유 없이 설레기도 하지만, 시간이 너무 빨리 흘러가는 것 같아 슬프기도 하다.1이라는 숫자가 주는 의미가 꽤나 크다. 뭔가 새롭게 시작할 수 있을 것 같고, 새로운 시작이 필요한 것만 같은 기분이다. 새해 다짐은 항상 거창하고 지켜지지 않는 편이지만 (ㅎㅎ) 지난 1년은 돌아보고 미래를 계획하는 시간이 나쁜 것 같지는 않다. 그리고 이렇게 동네방네 온라인에 떡하니 공개하면 더 지키려고 노력하겠지?  나의 20232023년은 정말 정말 큼직한 일들이 많았던 해였다.그만큼 2024년은 잔잔한 1년이 될지도 모르겠다.? 그래도 좋을 것 같다. 1. 우리 집 장만영끌로 우리 집을 마련했다! 시드니 2년차에 과감하게, 시드니 정착을 어느 정도 결정한 셈이다. 시드니 초보자라..

728x90
반응형